"A CUT OFF POINT", 커트라인?
이번에는 우리가 흔히 "커트라인(CUT LINE)"이라고 사용하는 영어 표현의 올바른 영어 표현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커트라인이라고 하는 말은 쉽게 생각해서, 어떠한 것의 기준점이 되는 점수 같은 것을 칭하는데 쓰인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90점을 기준으로 A와 B학점의 경계가 생긴다고 하면, 90점이 A학점 커트라인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지요. 물론 우리는 이렇게 이야기를 하지만 영어로는 조금 다르게 표현하는 모습입니다. 한 번 살펴보도록 하지요.
# A CUT OFF POINT = 기준점 / 커트라인
우리가 "커트라인(CUT LINE)"이라고 사용하는 표현을 영어로는 " A CUT OFF POINT"라고 사용하는 모습입니다. 말 그대로 "잘라내는 점수"라고 할 수 있을 것인데요. 기준에 들지 못하 것을 잘라낸다는 의미로 이렇게 쓰이게 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결국 이 표현이 가리키는 내용은 같습니다. 어떠한 점수에서는 경계를 나누는 기준이 되는 점수를 뜻하고, 특정한 "기한"을 지칭할 때는, "마감일"을 지칭하기도 하는 모습이지요.
한 번 쓰임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If this probability is below a user-defined cut-off point then this assumption is probably wrong." (이 확률이 사용자가 정의한 기준값보다 작으면, 아마도 이 가정이 잘못된 것입니다.)
"Is there a cut-off point between childhood and adulthood?" (아동기와 성인기가 나눠지는 시점이 있나요?)
"The age of 16 is not a satisfactory cut-off point." (16살은 만족스러운 커트라인이 아닙니다.)
"Is there a cut-off point between childhood and adulthood?" (아동기와 성인기가 나눠지는 시점이 있나요?)
"The age of 16 is not a satisfactory cut-off point." (16살은 만족스러운 커트라인이 아닙니다.)
여기까지, 우리가 커트라인이라는 말로 사용하는 적절한 영어 표현 "A CUT OFF POINT"라는 표현에 관하여 한 번 살펴보았습니다.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영어 공부의 글은 페이스북, 카카오, 브런치 채널에서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 페이지 ☞ https://www.facebook.com/engstudyweb/
카카오 채널 ☞ https://story.kakao.com/ch/engstudyweb
브런치 페이지 ☞ https://brunch.co.kr/@theuranus
이미지 맵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