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셉 콘레드 "문명의 전초지(AN OUTPOST OF PROGRESS)"


조셉 콘레드 "문명의 전초지(AN OUTPOST OF PROGRESS)"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은 중요합니다. 우리는 어찌 되었건 자연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개체 중의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인간이 아무리 잘났다고 하더라도 혼자서는 살아갈 수가 없고, 특히 환경에 의해서 많은 영향을 받으니 말이죠.


이러한 환경 속에서 "도시"를 건설하고 소위 "문명"이라고 하는 것을 쌓아 올리는 것은 한순간에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그만큼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필요했을 것이지요.




# 문명이라는 보호막이 사라지고 대자연에 방치된다면 어떻게 될까?


우리는 문명 속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문명이라고 하는 일종의 보호막 아래에서 살아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지요. 그러나, 이러한 문명에서 벗어나 대자연 앞에 방치되게 된다면, 그래도 그들은 문명을 쌓아 올린 인간의 위대함으로 새로운 땅에서 자연을 정복하고 문명을 쌓아 올릴 수 있을까요?


이러한 질문을 던지는 이유는 바로 이 책에서 담고 있는 내용이 바로 그 문명에서 다소 동떨어져있는 무역 출장소를 배경으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 번 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지요.


이 소설에 등장하는 두 명의 백인 주인공, Kayerts와 Carlier는 문명 세계에서 제대로 적응을 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는 두 명의 남자다. 문명을 개척하고 전파하라는 미명으로, 두 남자는 아프리카 변방의 무역 출장소로 부임받는다. Kayerts는 딸의 지참금을 만들기 위해, Carlier는 퇴역 군인으로 그곳에 배치를 받았다. 무역 출장소의 전임자가 열병으로 사망하였기에 그들이 새롭게 부임하게 된 것이다. 실질적으로 무역 출장소의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사람은 개화한 원주민 Makola(마콜라, Henry Price)다. 이들 두 백인은 책을 읽으면서 출장소에서의 무료함을 달래고, 그곳에서 예전에 쓰인 것으로 보이는 책을 읽으며, 문명의 신비에 대해서 그제야 감탄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뭔가 바보 같아 보이는 그들, 기존의 구세계에서는 왠지 제대로 적응을 하지 못해서 이렇게 외진 곳으로 배치를 받은 것 같은 그런 분위기를 풍기기도 하는 대목이다.


어느 날, 출장소의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Makola(마콜라)가 상아와 무역 출장소 일꾼을 교환한 일을 계기로 좋지 않은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그들에게 우호를 보이던 이웃 원주민들과의 교류도 끊어지고, 그들과의 관계는 적대적으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무역선도 오지 않아 고립된 생활을 하며 마음이 황폐해진 그들은 설탕 한 조각으로 사소한 시비가 붙게 되고, 서로에게 총을 겨누는 상황까지 벌어지게 된다. 결국, 혼전 중에 Kayerts가 쏜 총알에 Carlier가 맞아서 사망하게 되고, Kayerts는 목을 메어 자살하게 되면서 이야기가 끝이 난다.


# 문명과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보여준 작품


이 작품에서 작가인 조셉 콘레드가 보여주고자 한 메시지는 아마도 "인간의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바보 같은 모습을 보여주는 것"아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인간이 야생에 직면하게 되었을 때, 아무것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두 백인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아이러니한 장면을 만들어내고자 한 것이 아닐까 하지요.


문명사회의 영역을 확장시키기 위해서 파견된 사람들인데, 그들이 오히려 문명인이 아는 것처럼 보이게 하면서, 영토와 문명을 확장시키려고 하는 "제국주의"적인 시각에 대해서 비판적인 메시지를 던지려고 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 모더니즘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조셉 콘래드(JOSEPH CONRAD)"


조셉 콘레드는 "모더니즘"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작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작품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특히 이 작품에서는 아래의 3가지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지요.


첫 번째는 "CONRADIAN NARRATIVE"라는 요소라고 하지요. 바로 작품에서 "무관심한 신(INDIFFERENT GOD)"의 모습을 보여주며, 모더니즘적인 요소를 끌어냈다고 평가받습니다. 콘래드는 한 때, "우주는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다."라고 이야기를 하기도 했지요. 이전처럼 "신"이 모든 것을 통제하고, 보호하는 그런 세계관이 아닌, "무관심한 신"의 모습을 작품 속에서 잘 드러내고 있습니다.


두 번째는 "그로테스크(GROTESQUE)"한 이미지를 많이 사용했다는 것이지요. 그로테스크는 "양립할 수 없는 두 가지의 가치가 서로 공존하는 것"을 가리킨답니다. 작품 속에서도 여러 가지 부분을 잘 꼬아넣어서 이런 부분이 잘 등장하고 있지요.


세 번째로는, "제국주의(IMPERIALISM)"을 소재로 다루고 있다는 점입니다. 주인공인 "카이예츠"와 "칼리어"는 어찌 보면 제국주의의 희생양이라고도 볼 수 있지요. 이들뿐만 아니라, 무역 출장소에서 노예처럼 근무하는 일꾼들 역시도 제국주의의 어두운 단면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구대륙의 문명 발전을 위해서 신대륙의 자원과 노동력을 착취하는 모습을 적나라하게 그려내고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지요.


여기까지, "조셉 콘래드"의 "문명의 전초지"라는 작품에 대해서 한 번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영어 공부의 글은 페이스북, 카카오, 브런치 채널에서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 페이지 ☞ https://www.facebook.com/engstudyweb/

카카오 채널 ☞ https://story.kakao.com/ch/engstudyweb

브런치 페이지 ☞ https://brunch.co.kr/@theuranus


Green English

영어 공부에 관한 내용을 전달합니다.

    이미지 맵

    Academic/Prose and Poetry 다른 글

    이전 글

    다음 글